인천 계양구에서 발생한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논란이 지속되면서 지역 주민들의 불편함이 커지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윤환 구청장은 최근 간담회에서 이 사태에 대한 심경을 밝혔습니다.
그는 “국민들이 좀 참을 줄도 알아야 된다”고 말하며, 현재 상황의 이해를 요청했습니다.
윤 구청장은 2일 취임 3주년 간담회에서 “계양산이 서식 환경이 굉장히 좋아서 러브버그가 모여 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올해 돌발적으로 발생한 상황이라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었다”라고 덧붙이며, 러브버그 관련 민원이 많아 자신이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털어놨습니다.
그는 러브버그가 익충이라는 점과 토양을 좋게 하는 기능을 언급하며, 방제 작업을 통해 전멸을 시키는 것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했습니다.
만약 방제 작업을 감행하게 된다면 환경 단체에서 반발이 있을 것이라 우려했습니다.
일부 네티즌들은 최근 소셜 미디어에 계양산 정상으로 향하는 계단이 러브버그 사체로 가득 찬 사진을 올리며 불만을 털어놨습니다.
등산로의 밧줄 손잡이와 나무 울타리, 정상석까지 모두 러브버그로 뒤덮였다며, 위생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윤 구청장은 무분별한 살충제가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화학적 방역을 삼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구청에서는 계단에 쌓인 러브버그 사체를 치우고 있으며, 울타리에 달라붙은 러브버그들에는 물을 뿌려 쫓아내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벌레가 달라붙으면 쉽게 떨어지지 않는 ‘끈끈이 트랩’을 정상 곳곳에 설치하면서 방제 작업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이런 대응이 과연 최선인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입니다.
자연환경 보호와 시민들의 요구 사이에서 지자체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러브버그 사태가 발생한 뒤에는 구청에 많은 민원이 접수되었습니다.
윤환 구청장은 “러브버그가 ‘러’자만 나와도 잠을 못 잤다”고 말하며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소회했습니다.
그의 발언은 많은 시민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
헌데, 지역 주민들과 자연의 생태계를 어떻게 조화롭게 회복할 수 있을지는 앞으로의 중요한 과제로 남았습니다.
지자체의 끊임없는 고민과 주민들의 이해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 사태가 해결되길 바라며 주민들이 편안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No Responses